티스토리 뷰
목차
우리나라의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든 전통적인 달력 같은 것입니다. 예전 농촌에서는 절기를 보고 씨앗을 심고, 수확 시기를 정했으며, 날씨를 예측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린이도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24절기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생활 속 활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절기란 무엇일까?
절기는 옛날 사람들이 태양이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길을 24개로 나누어 만든 시간 표시 방법이에요. 이 길을 ‘황도’라고 부르는데, 태양이 15도씩 움직일 때마다 새로운 절기가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입춘은 봄이 시작되는 날이고, 동지는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절기는 모두 24개가 있고, 봄·여름·가을·겨울에 각각 6개씩 나뉘어 있어요. 옛날 농부들은 절기를 보고 “이제 씨를 뿌릴 때구나!”, “추수를 시작해야겠네” 하고 일을 계획했어요. 절기는 단순히 날짜가 아니라, 계절과 날씨를 알려주는 ‘자연의 시계’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그래서 절기를 잘 알면 오늘날에도 계절 변화를 더 잘 느끼고, 제철 음식을 고르거나 날씨에 맞게 옷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절기의 이름과 순서
절기는 입춘 → 우수 → 경칩 → 춘분 → 청명 → 곡우로 시작해 여름, 가을, 겨울까지 이어져요.
여름에는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가 있고,
가을에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에는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이 있어요.
예를 들어, 입춘(2월 초)은 봄이 시작된다는 뜻이고, 경칩(3월 초)은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깨어나는 시기예요. 하지(6월 하순)는 낮이 가장 긴 날이고, 동지(12월 하순)는 밤이 가장 길어요. 절기 이름에는 계절의 변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이름만 들어도 그때의 날씨나 풍경을 상상할 수 있어요. 요즘은 달력이나 스마트폰에도 절기가 표시되어 있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답니다.
절기와 생활 속 재미있는 풍습
절기에는 계절마다 재미있는 전통 풍습이 있어요.
입춘에는 대문에 ‘입춘대길’이라는 글씨를 붙여 한 해의 복을 기원했어요.
청명 무렵에는 가족이 함께 성묘를 하고,
단오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아 더위를 이겨내려고 했습니다.
동지에는 팥죽을 끓여 악귀를 쫓는 풍습이 있었어요.
또 절기는 계절별 맛있는 제철 음식을 알려주는 역할도 해요. 봄에는 냉이, 쑥, 두릅이 맛있고, 여름에는 참외, 수박, 옥수수가 달콤해요. 가을에는 감, 배, 밤이 풍성하고, 겨울에는 무, 배추, 시금치가 싱싱합니다. 이렇게 절기를 생활에 활용하면 계절을 더 가깝게 느낄 수 있고, 건강에도 좋아요. 어린이 여러분도 절기를 알면 계절마다 즐길 수 있는 놀이와 음식이 더 많아진답니다.
절기는 단순한 옛날 달력이 아니라, 자연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지혜입니다. 어린이들도 절기를 알면 계절의 변화를 더 잘 느끼고,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오늘부터 달력에서 절기를 찾아보며 자연의 리듬을 느껴보세요.